SPACE RUMI

Hi, I am rumi. Let's Splattack!

2023/08 5

[젤다의전설] 티어스오브더킹덤 - 코쿠피 설원의 동굴 / 노우다의 사당

코쿠피 설원의 동굴 위치 동굴안에 사당이 있다. 동굴 입구는 여기 들어가면 바로 정면에 사당이 보인다. 어떻게 가냐~~ 바로 우측에 굴로 들어가면, 얼음 뿜으면서 조아가 얼음 만들어준다. 물에 얼음을 뿌리면? 얼음~ 만들어진거 가져다 써도되고 냉기열매를 쏴도된다. 노우다의 사당!! 마요이는 입구에서 좌측굴에 숨어있다. 오늘도 1사당 했다.ㅎㅎ 젤다 꿀팁글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더킹덤 - 코로그 모든 종류 / 친구한테 가고싶어 / 코로그 도토리 / 코 코로그 모든 종류와 퍼즐 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번 알아두면 헤멜일이 없다. 친구가 있는 곳으로 가고싶어 초록색 연기나는 곳으로 친구가 있는 위치를 알려주는데, 어떻게든 데리고 space-rumi.tistory.com

[GAME] 게임 2023.08.09
[젤다의전설] 티어스오브더킹덤 - 번개의대지 동굴 들어가는방법 / 람다의재보 꿈꾸는 용사의 가면

번개의대지 위치 하이랄 성의 왼쪽과 리토마을에서 동남쪽 사이에 있다. 꿈꾸는용사의 가면은 번개의대지 동굴 안에 있는데, 동굴 문을 여는 방법은 12시 정오에 남쪽 석상의 그림자가 북쪽 석상에 닿으면 된다. 번개의 대지 중앙에보면 동굴 입구가있고, 사방에 4개의 석상이 있는데, 맵에서 남쪽에 있는 석상을 표시해주자. 주변에있는 버섯나무를 자른다. 통나무 5개 필요. 일자로 이어준다. 통나무를 세우려면 말뚝이 필요하다. 이런식으로, 말뚝을 스크래빌드한 통나무에붙이고, 남쪽기둥에 붙여서 긴 그림자를 만들어준다. 장작 태워서 시간때우기로 점심으로 가자. 참고로 비오거나 번개치거나 흐린날이면 그림자가 안생기기때문에... 햇빛이 쨍한 정오가 걸리기를 기도한다. 나는 계속 비오고 천둥쳐서 5트 했다.. 한번 비 걸리..

[GAME] 게임 2023.08.08
architecture 아키텍처란? 계층형/이벤트기반/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계획을 정리한것을 말한다. 즉,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계획을 세워 정리한 설계도 같은것을 아키텍처라고 한다. 계층형 아키텍처 (레이어드 아키텍처) 여러가지 층으로 만들어 분리하는 단순한 방식의 아키텍처. 각 계층마다 로직이 다르고, 의존성이 단방향이다. 서비스 규모가 커지면 계층도 커지면서 유지보수가 힘들어지고, 개발속도도 저하되며 배포도 어렵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이벤트라고하는 상태변화에 대응하는 아키텍처이다. 예를들어, 유저가 버튼을 클릭해 원하는 상품페이지에 접근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상태변화에 대응하는 알림 서비스 등을 설계할 때 적합하다. 모든 요청은 비동기 처리 하기 때문에, 확장성에 좋지만, 순서를 보장하기는 어렵다.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는 프로듀서, 브로커, 컨슈머로..

[백엔드]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위한 로드맵 / 코딩 잘~ 하는 백엔드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한 시작점

백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할 것들 백엔드 공부를 시작해보려고 한다. 나는 디자인, 퍼블리싱, 프론트엔드 지식밖에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내가 공부 할 키워드를 훑어봤다. 프론트엔더라 자바스크립트에 익숙하다 보니, Node.js를 공부할 예정이다. 언어 : 자바스크립트 & 타입스크립트 웹 프레임워크 : express, NestJS 인증 : 인증, 인가, Oauth 데이터베이스 : RDB - SQLite / NoSQL - 몽고디비 / ORM HTTP : RESTful API + 서버와 운영체제에 대한 이해 (리눅스서버 및 리눅스 명령어들..) + vim 웹 서버와 WAS Web Server (웹서버) : 이미지나 pdf, xls 등등 정적파일을 서비스하는 서버. ex) 아파치, 엔진엑스 Web Applica..

워드프레스 vs 티스토리 블로그 추천 사이트. 워드프레스 설치형, 워드프레스 가입형

최근 티스토리가 구글 애드센스 광고 일부를 가져감으로써, 워드프레스의 수요가 늘었다. 물론 나는 애드센스 때문에 티스토리를 시작했던건 아니지만, 어쩌다 보니 애드센스를 달게되었고, 이왕 블로그 하는거 워드프레스까지 운영해보면 좋겠다 싶어서 시도해봤다. 몇년전에 설치형을 써봤고, 이번에 가입형으로 개설을 해봤는데 역시 재미있다. 다양한 블로그를 동시에 하는것은 무리가 있을거라고 판단했지만, 나름 각각의 블로그 플랫폼으로서의 장점이 있다. 처음 블로그를 시작할 때 어떤 플랫폼을 사용하는게 좋을까? 일단 어떤 블로그 서비스들이 있는지 알아봐야 할 것이다. 플랫폼 종류를 찾아보자. 그리고 각각의 플랫폼들의 특징을 살펴보자. 워드프레스 (설치형, 가입형이 있고 자유도가 높다.) 티스토리 블로그 (다음, 카카오톡 ..

반응형